메뉴 건너뛰기

소식지

2020.11.25 10:01

낚시꾼 유감

조회 수 8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낚시꾼 유감

 

 

글, 사진 천성광/공동대표  

 

지난 6월 하순, 생태체험학교 아이들이 7월초 하천체험할 때 사용할 대나무물총 재료를 만드느라 땀을 뻘뻘 흘리며 일을 하고 있는데, ㅈ선생으로부터 다시 전화가 왔다.

 

‘곧 만날텐데 왠 전화람.’

 

그 전에 전화로 김해에 있는 ㅎ저수지에서 오후 4시경에 만나기로 약속을 한 뒤였기 때문이다. ㅈ선생은 다급한 목소리로 “논병아리의 알이 없어졌어요. 울산에서 온 낚시꾼들이 가져 간 것 같습니다”고 했다. 하던 일을 서둘러 마치고 현장으로 달려가 보니 저수지 가쪽 어리연꽃 군락 부근에 있는 논병아리의 둥지는 텅 비어 있었다.

 

‘논병아리 알이 사라진 사건’이 있기 일주일쯤 전에 ㅈ선생과 나는 낙동강하구 일대에서 탐조를 하고 있었다. 계절상 새들의 번식철이라 낙동강하구에는 새가 별로 없었다. 번식철에 강에 새가 있으면 그게 더 이상한 일이다. 번식을 하러 무인도로, 숲으로, 수초 사이로 가야 맞다. 그는 ‘논병아리가 번식하는 김해의 ㅎ저수지로 한번 가보는 게 어떠냐’고 제안을 했다. ㅎ저수지는 그가 젊은 시절 취미로 낚시할 때 자주 가던 곳으로, 그 당시 논병아리가 둥지를 트는 것을 보았다고 했다. 그 때 관찰을 해 보니, 먹이 먹으러 나갈 때는 접시모양의 둥지 위쪽을 수초로 덮어서 가리고, 다시 와서 덮어놓은 수초를 살짝 걷어서 알을 품는다는 것이었다. 참 신기했다. 예전에 논병아리가 새끼들을 업어서 키우는 장면을 보고 ‘우찌 우리나라 엄마들과 똑같나’하고 감탄을 했지만, 둥지를 위장하는 모습은 본 적이 없었다. 세월이 지나 논병아리가 아직도 그곳에서 번식을 하는지 모르지만, 밑져봐야 본전이니 한번 가보자고 의기투합을 해서 차를 몰고 갔다.

 

ㅎ저수지에 도착해서 쌍안경으로 살펴보니 저수지 중간에 논병아리 한 마리가 보였다.

 

‘음, 일단 논병아리는 있군. 둥지만 찾으면 되는데…’논병아리알_120624진례학성저수지_천성광.jpg

 

 

눈이 좋아 ‘레이더’라는 별명을 가진 ㅈ선생은 건너편 물가에 둥지가 있는 것 같다고 했다. 그쪽으로 가서 확인해 보니 정말 둥지가 있었다. 그는 휴대하고 있던 우산을 이용해서 둥지 위쪽의 수초를 살짝 걷어냈다. 알 5개가 있었다! ‘탐조를 하려면 역시 눈이 좋아야 해.’ 속으로 ㅈ선생의 좋은 눈과 눈썰미가 부러웠다. 저수지를 다시 둘러보니 논병아리 한 마리가 더 있었다. 부부 한쌍이 둥지를 튼 것이다.

 

우리는 논병아리 둥지에서 충분히 떨어진 곳에 자리를 잡고, 논병아리 부부의 행동을 관찰했다. 논병아리 부부는 둥지 가까이 오더니, 그 중 한 마리가 둥지 위쪽의 수초를 부리로 조심스럽게 걷어내고 둥지 위에 앉아서 알을 품기 시작했다. 알 위에 앉아서도 연신 부리로 주위의 수초를 물어 둥지의 가쪽을 덮어서 가렸다. ㅎ저수지 주변에는 조그마한 숲이 있어 꾀꼬리 소리도 들렸고, 파랑새도 날아다니는 것이 보였다. 이 외에 물총새도 쓰러진 나무 위에서 먹이를 노리고 있었고, 검은댕기해오라기도 있어서 탐조하는 재미가 쏠쏠했다. 비가 오기 시작했다. 주중에도 짬을 낼 수 있는 ㅈ선생이 위장막을 치고 논병아리가 알을 품는 장면, 새끼가 알에서 나오는 장면, 어미가 새끼를 업어서 키우는 장면을 기록해 보기로 하고 그곳을 떠났다.

 

논병아리_120626학성저수지_조무호.jpg

 

그로부터 이틀 뒤에, ㅈ선생은 논병아리가 알을 품는 장면을 멋지게 카메라에 담았다. 하지만 그것이 마지막이었다. 그로부터 사흘 뒤에 울산에서 온 낚시꾼 2명이 2박3일을 머물고 갔다. ㅈ선생은 그들과 얘기도 나누었는데, 울산의 ㅎ중공업에 근무하는 40대 후반이나 50대 초반으로 보이는 사람들이라 했다. 그 사람들이 다녀간 뒤에 알 5개가 없어진 것이다. 만약 물뱀과 같은 천적이 알을 훔쳤다면 둥지에 흔적이 남아있을 터인데, 둥지 안은 너무나 깨끗했다. 우리는 그 낚시꾼들의 소행이 틀림없다고 결론지었다. 고기가 잡히지 않으니 새알이라도 전리품으로 가져가야 했든지, 아니면 컵라면에 넣어서 먹었는지도 모른다.

 

더군다나 그 사람들이 가고 난 빈자리는 종이컵, 폐낚싯대, 파라솔, 컵라면 용기 등의 쓰레기로 덮여 있어서 우리를 더욱 분노케 하였다. 자신들의 놀이터를 왜 이렇게 더럽히는지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았다. 그들이 그곳에 다시 왔을 때, 곳곳에 쓰레기가 버려져 있다면 그곳에서 낚시를 하고 싶을까? 그들이 버린 비닐봉지에는 울산의 농협하나로마트의 전화번호가 선명하게 찍혀 있어서, 우리는 행정기관에 ‘쓰레기 무단투기’로 그들을 고발하기로 하였다. 쓰레기 무단투기도 그렇지만, 알을 가져간 것이 너무도 괘씸해서 <야생동식물보호법>을 뒤져 처벌할 수 있는 조항이 없나 살펴보았다. 하지만 아쉽게도 마땅한 근거조항이 없었다. 현재의 <야생동식물보호법>은 보호구역안에서 멸종위기종을 포획하거나 그 알을 채취했을 경우에만 처벌을 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었다. 보호구역도 아닌 저수지에서 번식하는 멸종위기종도 아닌 논병아리는 인간의 배려를 전혀 받을 수 없는 불쌍한 존재였다.

 

 

논병아리둥지_120701진례학성저수지_천성광.jpg 하천, 저수지, 연못 등 우리나라의 낚시터는 낚시꾼들이 버린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납으로 된 낚시추는 토양과 물을 오염시키며, 버려진 낚싯줄은 새들의 다리나 부리에 걸려 이들을 죽음으로 몰고 간다. 낚시도 호주처럼 면허제로 해서, 일정한 소양교육을 받은 사람만 낚시를 할 수 있도록 법제화해야 할 것이다.

 

그날 논병아리 부부는 번갈아가며 빈 둥지 위에 올라 앉아 보기도 하고, 그 주변을 두리번두리번 살펴보기도 했다. ‘내 새끼들 어디 갔나?’ 이전에는 울음소리를 내지 않던 논병아리 부부는 그날따라 유난히 많이 울었다. “휘리리리리리리…” 새끼를 잃은 어미의 절규처럼 들렸다. 평소 우리 아이들이 “쓰레기같은 인간”이라는 말을 가끔씩 쓸 때, 그런 말은 자신의 오만함을 드러내는 것이니 쓰지 말라고 나무라곤 했는데, 오늘은 내가 그 낚시꾼들에게 이 말을 써야겠다. “너희들이 버린 쓰레기와 똑같은 인간들!!!”

 

그로부터 일주일 뒤에 아쉬운 마음에 ㅎ저수지에 다시 가보았다. 비가 많이 와서 그런지 몰라도 논병아리의 둥지는 물에 푹 잠겨 있었다. 논병아리 부부는 여전히 그곳에 머물고 있었지만, 기대했던 2차 번식은 포기한 것 같았다. 하기야 이제 본격적인 장마철이니 번식을 하기가 힘들겠지. 이로써 ㅈ선생의 야심찬 계획은 모두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비어있는 논병아리 둥지

 

하천, 저수지, 연못 등 우리나라의 낚시터는 낚시꾼들이 버린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납으로 된 낚시추는 토양과 물을 오염시키며, 버려진 낚싯줄은 새들의 다리나 부리에 걸려 이들을 죽음으로 몰고 간다. 낚시도 호주처럼 면허제로 해서, 일정한 소양교육을 받은 사람만 낚시를 할 수 있도록 법제화해야 할 것이다.

 

그날 논병아리 부부는 번갈아가며 빈 둥지 위에 올라 앉아 보기도 하고, 그 주변을 두리번두리번 살펴보기도 했다. ‘내 새끼들 어디 갔나?’ 이전에는 울음소리를 내지 않던 논병아리 부부는 그날따라 유난히 많이 울었다. “휘리리리리리리…” 새끼를 잃은 어미의 절규처럼 들렸다. 평소 우리 아이들이 “쓰레기같은 인간”이라는 말을 가끔씩 쓸 때, 그런 말은 자신의 오만함을 드러내는 것이니 쓰지 말라고 나무라곤 했는데, 오늘은 내가 그 낚시꾼들에게 이 말을 써야겠다. “너희들이 버린 쓰레기와 똑같은 인간들!!!”

 

그로부터 일주일 뒤에 아쉬운 마음에 ㅎ저수지에 다시 가보았다. 비가 많이 와서 그런지 몰라도 논병아리의 둥지는 물에 푹 잠겨 있었다. 논병아리 부부는 여전히 그곳에 머물고 있었지만, 기대했던 2차 번식은 포기한 것 같았다. 하기야 이제 본격적인 장마철이니 번식을 하기가 힘들겠지. 이로써 ㅈ선생의 야심찬 계획은 모두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