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성명서 보도자료

조회 수 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4-6-5.jpg

 

 [취재요청서]

 

부산시의 그린벨트 1천만평 해제 추진과

멸종위기종 서식지를 훼손하는 교량건설 대체서식지 조성계획 철회 촉구 및 낙동강하구 보호촉구 10만인 시민서명운동 시작 알림

세계환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개최

 

김해평야를 주거단지와 공단으로 바꾸려는 그린벨트 해제추진 철회하라!

멸종위기종 서식지 훼손하는 대체서식지 조성계획 철회하라!

기후붕괴 가속화하는 자연파괴, 난개발을 중단하라!

 

일시: 202465일 오전 11

장소: 부산시청앞 시민광장(연제구 연산동 1000/중앙대로 1001)

주관: 습지와새들의친구

주최: 가덕도신공항반대시민행동(이하 시민행동)

문의: 박중록 시민행동 집행위원장 010-8906-6314

 

<기자회견 순서>

취지 및 경과 설명: 박중록

그린벨트 해제와 낙동강하구 난개발을 규탄한다: 최종석 시민행동 공동대표

기자회견문 낭독

* 사회: 김현욱 가덕도신공항반대시민행동 집행위원

 

기후붕괴 마지노선, 티핑포인트 1.5도 상승이 길어야 51개월 남았습니다. 더 이상의 자연파괴는 파멸이므로, 보호구역을 확대하고 훼손된 자연을 복원해야 한다는 국제사회와 과학자들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진작 우리 정부와 부산시는 거꾸로 자연파괴를 부추기고 있습니다.

 

지구 평균기온이 1.5도 상승을 넘어가게 되면 어떤 수로도 정상기온으로 되돌리지 못하고 이상기후가 일상화되는 시기로 접어든다고 합니다. 이상기후의 일상화는 곧 식량위기를 의미합니다. 지금 한국사회의 곡물자급도는 불과 20%에 불과합니다.

 

기후붕괴로 인한 식량위기가 눈 앞에 닥친 시점에도 정부와 부산시는 이에 대한 대비는커녕, 그나마 겨우 남은 김해평야 농경지를 모두 주택과 공장용지로 바꾸는 그린벨트 해제를 추진하겠다 합니다.

 

이는 202312월 발표한 보호구역과 그에 준하는 지역을 육지와 바다 각각 2030년까지 30%로 확대하고 훼손된 생태계를 복원하겠다는 정부의 5차 국가생물다양성보전전략과도 위배됩니다.

 

부산시는 대저대교·엄궁대교·장낙대교 등 낙동강하구 문화재보호구역의 핵심지역을 관통하는 교량건설로 위협받고 있는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인 큰고니의 서식을 위해 대체서식지를 조성하겠다 합니다.

 

그러나 환경영향평가가 거짓부실로 이루어지다보니 대체서식지 조성 예정지가 삵, 맹꽁이, 대모잠자리 같은 멸종위기종의 서식지로 이용되고 있다는 사실 조차 모르고 있습니다.

 

이에 시민행동은 김해평야의 마지막 남은 농경지를 모두 없애는 정부와 부산시의 그린벨트 해제 계획의 철회를 요청하고,

 

거짓부실도 가려내지 못하고 멸종위기종 서식지를 파괴하는 대체서식지 조성 계획을 용인한 낙동강유역환경청의 책임있는 조치를 요구하고,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부산시와 환경청 관계자들을 직무유기와 환경영향평가법 위반 등으로 고발하고자 합니다.

 

아울러 세계환경의날을 맞아 낙동강하구 문화재보호구역 보호와 난개발 중단 등을 요청하는 10만인 서명운동을 시작하고자 합니다.

 

금쪽같은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많은 참여와 언론인 여러분의 적극적인 취재와 보도를 요청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2 '제 5회 제비맞이 행사' 내성천 제비숙영지 보호구역 지정을 위한 전국연대 발족 file wbknd 2022.10.04 206
111 10월 31일 대저대교 대응 기자회견 file wbknd 2020.11.18 47
110 1월 17일 행사 보도자료와 기자회견문 file wbknd 2020.11.02 44
109 2018년 세계습지의날 성명서 file wbknd 2020.11.02 58
108 2019년 2월 2일 세계습지의날 캠페인과 습지의날 성명서 file wbknd 2020.11.02 56
107 2022 세계환경의날 성명서 file wbknd 2022.06.03 50
106 2022년 세계 습지의 날 맞이 낙동강하구 습지보전 촉구 성명서 wbknd 2022.02.07 100
105 2022년 지구의날 기념 낙동강하구 문화재보호구역 난개발 중단촉구 기자회견문 file wbknd 2022.04.22 96
104 2023년 53주년 지구의 날 성명서 file wbknd 2023.08.10 16
103 2023년 제51회 세계환경의날 입장문 file wbknd 2023.08.07 25
102 2월 2일, 세계습지의날 성명서 wbknd 2021.02.04 46
» 6월 5일, 세계환경의 날 기자회견 개최 알림 file wbknd 2024.06.04 22
100 7월 15일 대저대교 환경영향평가서(보완)의 부실 왜곡 날조 규탄 기자회견 file wbknd 2020.11.02 50
99 [2월2일] 세계습지의 날을 맞아 세계적 철새도래지 낙동강하구 개발허가 남발하는 낙동강유역환경청 규탄 기자회견 file wbknd 2024.02.08 12
98 [cpbc 가톨릭평화방송] '열린세상 오늘! 윤재선입니다' 인터뷰 wbknd 2021.01.15 59
97 [KBS뉴스] [경남 UP!] 갈등의 씨앗, 못 믿을 환경영향평가 wbknd 2021.01.21 34
96 [KBS뉴스] [단독/집중취재]① ‘거짓 평가 업체’ 버젓이…대저대교 평가 또 ‘엉터리’ wbknd 2021.01.21 68
95 [KBS뉴스] [집중취재]② 부실·오류투성이…‘수상한’ 합동조사 wbknd 2021.01.21 33
94 [KBS뉴스] ‘공동조사 합의’ 파기…대저대교 무리한 강행 wbknd 2021.01.26 58
93 [KBS뉴스] 지역환경단체 20여 곳, “대저대교 조류 조사 부산시가 방해…공동조사 중단” wbknd 2021.01.27 5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 6 Next
/ 6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