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성명서 보도자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KakaoTalk_20250705_233911538.jpg

 

 

25-7-4-엄궁대교 물양장예정지 대모잠자리 보고서

 

취재요청서_엄궁대교물양장대모잠자리실태조사발표_250703_최종.pdf

 

 

"단지 대모잠자리 한 종에 국한된 보전 조치가 아니라, 낙동강하구 전체의 생태계 기능과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핵심 대응이다."

 

----------------------

엄궁대교 환경영향평가서, 멸종위기종 서식지 숨겼다.

(엄궁대교 물양장·대체서식지 조성 예정지 멸종위기종 대모잠자리 서식 실태조사 발표 기자회견)

 

[기자회견 참석자]

박중록(낙동강하구지키기전국시민행동 공동집행위원장)

강성화(습지와새들의친구 사무국장)

박상현(낙동강하구지키기전국시민행동 공동집행위원장)

김도연(부산불교환경연대 사무국장)

김도현(가덕도신공항반대시민행동)

김경해(환경과생명을지키는교사모임)

박재중(습지와새들의친구)

 

----------------------------------

[대모잠자리 조사 보고서 주요내용]

 

5. 결론

 

본 조사를 통해 맥도생태공원 남측 준설토적치장 5구간 일대가 대모잠자리의 안정적인 서식지로 기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당 지역은 대모잠자리 외에도 삵, 노랑부리저어새, 큰기러기, 잿빛개구리매 등 법정보호종의 서식지로 활용되고 있으며, 생태적으로 매우 중요한 복합 서식지이자 보전 대상지이다.

 

특히 본 지역은 (사)습지와새들의친구가 2004년 4월부터 매월 1회 정기적인 조류 조사를 실시해 온 지역으로, 그간 축적된 장기 생태자료를 통해 조류 서식지로서의 가치가 꾸준히 확인되어 왔다. 이번 조사에서는 이에 더해, 대모잠자리의 실제 서식도 확인됨으로써 이 지역의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기능이 매우 높음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산시가 작성한 환경영향평가서에는 이 지역의 서식 실태 및 생물다양성 정보가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다. 평가서에서는 해당 지역을 단순히 ‘방치된 공간’으로 기재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부산시는 엄궁대교 건설을 위한 물양장과 폐기물관리사 설치, 나아가 법정보호종이 이용하는 지역에 대체서식지를 조성할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이러한 계획이 그대로 추진될 경우, 대모잠자리의 핵심 서식지가 직접적으로 훼손되거나 소실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이는 단순한 국지적 손실을 넘어, 종 단위의 보전과 낙동강하구 생태축의 지속가능성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게 된다. 특히 환경영향평가서 도면에 따르면, 엄궁대교의 노선은 대모잠자리의 주요 서식지를 직접 관통하고 있어, 이로 인한 서식지 단절 및 파편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된다.

 

6. 제언

 

이상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본 보고서는 환경부와 부산시에 다음과 같은 책임 있는 조치를 강력히 요청한다.

 

1. 엄궁대교 건설에 따른 물양장 및 폐기물관리사 설치 계획의 중단

– 해당 시설은 대모잠자리의 주요 서식지를 직접적으로 훼손할 우려가 있으며, 법정보호종의 보전 원칙에 위배된다.

 

2. 대저대교 건설을 위한 삼락생태공원 내 공사용 가도 설치 계획의 철회

– 해당 구간은 대모잠자리뿐 아니라 삵, 맹꽁이의 서식지로 이용되고 있으며, 법정보호종에 대한 직접적 교란을 초래한다.

 

3. 엄궁대교 및 대저대교 건설에 따른 대체서식지 조성 계획의 전면 재검토

– 대체서식지 예정지 자체가 법정보호종의 실제 서식지인 바, 이를 훼손하는 방식의 보전대책은 생태적·법적 정당성을 결여하고 있다.

 

4. 환경영향평가서의 정밀 조사 및 보완 재작성

– 서식 실태와 생물다양성에 대한 자료가 전면 누락된 기존 평가서는 중대한 과학적 결함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환경부의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5. 해당 지역의 생태자산 보호를 위한 법적 보호조치 검토

– 습지보호구역 또는 생태보전지역 지정 등 법률에 따른 제도적 보호장치 마련이 요구된다.

 

이상의 권고는 단지 대모잠자리 한 종에 국한된 보전 조치가 아니라, 낙동강하구 전체의 생태계 기능과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핵심 대응이다. 부산시와 환경부는 본 조사의 과학적 결과를 엄중히 받아들이고, 국가자연유산인 낙동강하구의 훼손을 방지하며, 자연과 조화되는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할 것을 강력히 촉구하는 바이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25-7-4-취재요청서-엄궁대교 물양장예정지 대모잠자리 실태조사 발표 file wbknd 2025.07.06 10
1 생태계의 보고, 낙동강하구를 그대로!!! 국가도시공원이 아닌 세계자연유산으로, file wbknd 2025.07.12 2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Next
/ 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