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언론보도

조회 수 5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낙동강하구의 보호구역도

낙동강하구역의 보호구역도

   자연환경보전지역 이미지 습지보호지역 이미지
문화재보호구역 이미지 특별관리해역 이미지

낙동강하구역의 보호구역

 
구분 관련법 면적 지정일 관련기관 비고
자연환경보전지역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52.7㎢ 1차 : 1987. 7

2차 : 1999. 8 

환경부  
습지 보호지역 습지보전법 37.7㎢ 1999. 8 환경부  
문화재 보호구역 문화재보호법 88.5㎢ 1966. 7 문화재청
(국가지정 문화재 제179호)
 
특별 관리해역 해양환경관리법 741.5㎢ 1982.10 국토교통부  

낙동강하구의 보전관리 실천계획

낙동강하구 관리의 기본목표

  •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룬 지속 가능한 자연생태 공간 관리
  • 남해안관광벨트 개발계획과 연계한 국제적 생태관광 자원화 추구
  • 미래 세대에 물려줄 생태학습 공간 창출 및 활용
  • 철새 이동지의 네트워크를 통한 국제교류 거점지역 활용

추진방향

  • 생태교육 및 생태관광 메카 육성사업 관련하여 지속적인 관리
    • 하드웨어적 기반시설 마련, 소프트웨어적 안내·교육 프로그램 개발
  • 낙동강하구를 국내외적으로 알릴 수 있는 방안 강구
    • 국내외 철새, 습지학회 유치, 하구관련 각종 이벤트개최 등
  • 낙동강하구 주변 각종 개발사업에 대한 초기 협의기능 강화
    • 낙동강하구 주변 각종 개발사업·문제점에 대해 초기 의견수렴

추진내용

  • 생태계 복원·활용 기반 구축
    • 을숙도 생태계복원사업 (쓰레기매립장 자연복원)
    • 낙동강에코센터 건립, 낙동강고수부지 정비사업, 서낙동강 주변 정비계획, 인공생태계 지속적 관리, 을숙도 매립장 관리동의 야생조수치료 센터로 개선, 을숙도 해양투기관리동 활용, 명지주거단지 철새탐조대 설치, 진우도 생태교육장

향후 조치계획

  • 매 5년마다 실천계획 수립

    람사르협약

    일반사항

    • 명 칭 : 물새 서식지로서 특히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 (Convention on Wetlands of International Importance especially as Waterfowl Habitat)
    • 채 택 : '71. 2. 2. 이란 람사(Ramsar)에서 채택(발표 : '75. 12. 12)
    • 가입국 : 169개국(2016. 12월 현재)
    • 습지등록 : 2,247개소(총 2억1천ha)
    • 사무국 : 스위스 글람, 세계자연보호연맹(IUCN) 건물에 위치

    협약 주요내용

    • 습지는 생태·사회·경제·문화적으로 큰 가치를 가진 자원이며, 이의 손실은 회복될 수 없다는 인식아래, 세계적으로 중요한 습지의 상실과 침식을 억제하여 물새가 서식하는 습지대를 국제적으로 보호
      ※ 세계 습지의 날을 2월 2일로 지정
    • 협약 당사국은 최소 1개 이상의 습지를 지정하여 Ramsar 습지 목록에 등록

    우리나라 관련 사항

    • 가입일자 : '97. 3. 28 ('97. 7. 28 발효)
    • 등록습지 : 22개소 191,627㎢(2016. 12월)
    • 등록내역
      대왕산 용늪(강원), 창녕 우포늪(경남), 신안 장도습지(전남), 순천만 갯벌(전남), 물영아리오름(제주), 태안 두웅습지(충남), 무체치늪(울산), 무안갯벌(전북), 오대산 국립공원습지(강원), 강화 매화마름 군란지(인천), 물장오리오름(제주), 제주1100고지습지(제주), 서천 갯벌, 고창·부안 갯벌, 제주 동백동산 습지(제주), 고창 운곡습지(고창), 증도갯벌(신안), 송도갯벌(인천), 한강밤섬(서울), 숨은물뱅듸(제주), 한반도습지(강원), 순천 동천하구(순천) 등 22개소의 람사습지 등록
    낙동강하구는 미등록(2차례 등록 추진중 어민 반대로 무산)
    • 관련 국내법률 : 습지보전법,자연환경보전법 등
      - 국내 이행은 내륙습지(환경부 자연정책과)와 연안습지(국토해양부)로 이원화되어 있으며, focal point는 환경부 지구환경(화당)으로 지정
    , 관련부서 공유  https://www.busan.go.kr/environment/ahecosystem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5 [오마이뉴스] '갈등' 여전한 낙동강하구 교량 건설 논란 wbknd 2021.12.23 69
94 [KBS뉴스] “교통량 수요 부풀려 세금 낭비·시민 부담 가중” wbknd 2021.12.19 22
93 [오마이뉴스] "교통량 부풀려 을숙도대교 건설, 해마다 수십억 세금 보전" wbknd 2021.12.19 76
92 [BBS NEWS] 약속지키지 않는 부산시...조례도 있으나마나 wbknd 2021.12.06 53
91 [부산일보] “철새 이동 방해 않도록 높이 25m 평면교로 교량 형식 변경” wbknd 2021.12.05 52
90 [내일뉴스]"낙동강하구 '철새 먹이터 조성 사업' 중단하라" wbknd 2021.12.05 20
89 [오마이뉴스] 부산 대저대교 논란, 이번엔 해법 찾을까? wbknd 2021.11.25 27
88 [오마이뉴스] 세계가 인정한 아름다움, 목숨 걸고 찍었습니다 - 최병성 리포트 wbknd 2021.09.13 75
87 [부산MBC - 자갈치 아지매] 사상-강서 잇는 대저대교 여전히 제자리걸음 wbknd 2021.09.08 109
86 [오마이뉴스] "큰고니와 낙동강하구를 지켜주십시오" wbknd 2021.09.05 49
85 [KBS뉴스] "부산시, 대저대교 노선 선정 일방통행" wbknd 2021.09.05 35
84 [오마이뉴스] 대저대교 논란 계속... 환경단체 "부산시, 소통의지 있나" wbknd 2021.08.31 33
83 [경향신문] 박형준 부산시장 ‘소통·협치’ 강조하면서 시정은 ‘일방 통행’ wbknd 2021.08.31 35
82 [부산일보] 마주 앉은 부산시·환경단체, 멀기만 한 ‘대저대교 최적노선' wbknd 2021.08.26 34
81 [인저리타임] 큰고니(백조)에게 4km를!, 큰고니와 낙동강하구를 지켜주십시오! wbknd 2021.08.25 100
80 [KNN벙송] 엄궁대교 주탑, 철새 이동경로 방해 wbknd 2021.07.18 57
79 [KBS뉴스] “대저대교 대안 노선 선택하라”…부산시 ‘난색’ wbknd 2021.07.13 42
78 [뉴스1] 낙동강 환경단체 "대저대교 경전철 인근 건설안이 최적 노선…환경훼손 적어" wbknd 2021.07.13 52
77 [오마이뉴스] "대저대교 대안노선 4개안 가운데 '경전철 근접안'이 최적" wbknd 2021.07.12 58
76 [부산일보] ‘낙동강 철새 보호 구역’ 줄어드나… 55년 만에 ‘손질’ wbknd 2021.07.10 60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 9 Next
/ 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