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언론보도

조회 수 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4대강사업이후 낙동강하구 염막둔치와 삼락둔치는 어떻게 변했을까요?

염막둔치 남단은 좁은 지역이지만 다양한 철새들을 관찰할수 있고, 수생식물 관찰도 용이했던 지역입니다. 그런데 4대강사업 후 이곳 중 절반은 제2하구둑을 만들면서 나온 준설토로 매립되었습니다.

 

yeommak_daejeo01.jpg

준설토로 매립된 염막둔치 남단 습지 ▲

 

철새들의 보금자리인 염막둔치 습지를 이렇게 매립해 버렸습니다. 이런데도 습지 보전을 이야기 하고 철새를 불러모으는 4대강사업이라고 선전하고 있습니다.

 

염막둔치 옆으로는 제방이 만들어져 있고 그 제방에 수령이 오래된 나무들이 있어 항상 그늘을 제공해 줍니다. 그런데 4대강사업 한답시고 그 제방아래에 다시 길을 내었습니다. 그리고 그곳에 또 가로수를 심었습니다. 그러나 그 가로수들은 지금 어떤 상황일까요? 거의 대부분의 나무잎이 말라버렸습니다.

 

yeommak_daejeo02.jpg

잎이 말라버린 가로수들 ▲

 

저 나무 한 그루의 가격이 얼마일까요?

나무를 심을 필요도 없는 곳에 나무를 심어 놓고 말라 죽이고 있습니다. 제방의 나무들이 여름이라면 제방아래 나무들은 겨울을 맞이한듯 합니다.

 

염막둔치는 2006년 둔치정비사업이 완료되었던 지역입니다. 200억여원의 예산을 들여 체육공원도 만들고 하였습니다. 그런데 정비사업 당시 이곳은 환경단체, 농민회, 부산시가 협약을 맺어 철새먹이터로 보전하기로 약속한 지역입니다. 그 결과 논농사만 지을수 있었고 겨울이 되면 생물다양성 계약을 통해 보리심기, 무논조성을 하여 기러기, 오리류의 중요한 쉼터이자 먹이터 역할을 했던 곳입니다. 그런데 4대강사업을 벌이면서 논 습지를 모두 엎어버리고 준설토를 적치하여 황무지 잡초지로 바꿔 버렸습니다.

 

yeommak_daejeo03.jpg

논습지가 사라지고 잡초지로 변해버린 염막둔치 ▲

 

이 잡초지 조성한다고 국민혈세 300억을 낭비했습니다. 도대체 제정신을 가진 정부라면 이런 일을 벌일수 있을까요?

 

 

대저둔치는 어떠할까요?

4대강사업이후 이곳도 잡초공원으로 변한지 오래 입니다. 그런데 이곳을 이용하는 이용객은 얼마나 될까요? 7월과 8월 두차례 토요일에 조사한 결과 체육시설 이용자는 0명이었습니다. 그러니 조성된 체육시설도 잡초체육공원이 되고 있습니다.

 

yeommak_daejeo04.jpg

대저둔치에 조성된 잡초가 자라고 있는 농구장 ▲

 

대저둔치 상부에 조성된 체육공원도 이용객 한 명 없고 잡초만이 무성합니다.

 

yeommak_daejeo05.jpg

대저둔치 상부 체육공원 ▲

 

도대체 누굴위해 이런 어마어마한 체육시설을 만들었을까요? 대저둔치는 문화재보호구역입니다. 당연히 낚시가 금지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곳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사람은 이런 불법 낚시꾼입니다.

 

yeommak_daejeo06.jpg

낚시꾼과 아직도 철거되지 않은 준설선 ▲

 

낚시꾼 뿐 아니라 준설선도 방치되어 흉물스럽게 남아있습니다.

새롭게 조성했다는 공원은 어떠할까요?

 

yeommak_daejeo07.jpg

잡초만이 무성한 공원 ▲

 

보시는것처럼 잡초만이 무성합니다.

 

그럼 염막둔치, 대저둔치를 이렇게 만드는데 얼마의 돈이 들어갔을까요?

염막둔치 황무지 만드는데 331억원, 대저둔치 잡초공원 만드는데 670억원이 투입되었습니다. 합이 1,001억원 입니다. 도대체가 말이 안되는 사업입니다. 이런 엉터리 사업을 벌이고도 4대강사업이 녹색성장 사업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외국에 수출하겠다고 합니다. 도대체 뭘 수출하겠다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국민 혈세 1,001억원 반환을 요청해야 하지 않을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5 [연합뉴스] "낙동강하구 문화재보호구역 난개발 중단하라" wbknd 2022.04.22 173
174 장낙대교 환경영향평가서 재접수 관련 기자회견 보도기사 wbknd 2022.07.06 148
173 [국제신문] 센텀2도 엄궁대교도…환경영향평가 대충하다 제동 wbknd 2022.03.15 145
172 [오마이뉴스] 내성천 수만마리 제비떼, 영주댐 담수로 숙영지 위협 wbknd 2022.08.31 125
171 [국제신문] 엄궁대교 지하화 대신 교량으로 재추진 무게 wbknd 2023.02.11 122
170 [오마이뉴스] 낙동강환경청, 엄궁대교-장락대교 환경영향평가서 반려 wbknd 2021.12.28 116
169 [부산일보] 낙동강 철새 보호구역 주변 환경 따라 손질… 15년 전 103k㎡ → 87k㎡ wbknd 2023.02.11 115
168 [국제신문] 장낙대교 건설에 학회서 퇴짜맞은 논문 환경영향평가서 인용 wbknd 2022.10.15 113
167 [부산MBC - 자갈치 아지매] 사상-강서 잇는 대저대교 여전히 제자리걸음 wbknd 2021.09.08 109
166 [오마이뉴스] "대저대교 예정지, 멸종위기 대모잠자리 최대 서식처" wbknd 2021.05.27 106
165 [KBS뉴스] 철새도래지 관통하는 ‘엄궁대교’…환경영향평가 편법 논란 wbknd 2021.12.28 105
164 [내일신문] [환경영향평가 잇따른 반려] 낙동강교량·비슬산케이블카·새만금신공항 '제동' file wbknd 2022.01.06 100
163 [인저리타임] 큰고니(백조)에게 4km를!, 큰고니와 낙동강하구를 지켜주십시오! wbknd 2021.08.25 100
162 '세계습지의 날' 맞이 기자회견 관련 보도 file wbknd 2023.02.02 94
161 [오마이뉴스] 부산시 대저대교 공청회 강행에 환경단체 "일방적" 반발 wbknd 2022.07.16 93
160 산지습지의 현주소 file wbknd 2020.11.17 90
159 [부산일보] 철새도래지 평강천, 대형 중장비 활보 곳곳에 철근 더미 wbknd 2021.01.11 89
158 [미션참여] 낙동강하구 철새 보호구역 해체 반대 wbknd 2023.02.11 86
157 [오마이뉴스] 손팻말 들고 노래를 부른 스님 "생명 존중은 부처님의 가르침" wbknd 2023.02.17 84
156 [뉴스펭귄] 부산시, 큰고니 서식지 지나는 대저대교 건설 강행 wbknd 2022.12.29 8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 9 Next
/ 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