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8, 9일 새해 첫 조사가 있었습니다. 흰목물떼새 조사를 겸해 영주댐 하류에서 봉화까지, 겨울 깊은 내성천을 만났습니다.
댐 만든 뒤 가장 많은 새가 주로 민물가마우지였는데, 얼음 때문일까요 이 친구들 숫자 크게 줄고 청둥오리 쇠오리가 많이 보였습니다. 흰목물떼새, 모래밭 대신 돌제방 들어서고 물살 깊어지고 빨라지면서 겨우 남은 모래와 얕은 물가서 겨울을 나고 있었습니다.
-흰목물떼새와 검은등할미새 -
- 꺅도요 -
1월 8, 9일 새해 첫 조사가 있었습니다. 흰목물떼새 조사를 겸해 영주댐 하류에서 봉화까지, 겨울 깊은 내성천을 만났습니다.
댐 만든 뒤 가장 많은 새가 주로 민물가마우지였는데, 얼음 때문일까요 이 친구들 숫자 크게 줄고 청둥오리 쇠오리가 많이 보였습니다. 흰목물떼새, 모래밭 대신 돌제방 들어서고 물살 깊어지고 빨라지면서 겨우 남은 모래와 얕은 물가서 겨울을 나고 있었습니다.
-흰목물떼새와 검은등할미새 -
- 꺅도요 -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50 |
2022년 12월 내성천조사
|
wbknd | 2022.12.29 | 582 |
| 49 |
2022년 9월 내성천 조사
|
wbknd | 2022.10.04 | 615 |
| 48 |
2022년 3월 정기조사
|
wbknd | 2022.03.26 | 615 |
| 47 | 2022년 2월 내성천 조사 | wbknd | 2022.03.22 | 611 |
| » | 2022년 1월 내성천 조사 | wbknd | 2022.03.22 | 585 |
| 45 |
2021년 12월 내성천 조사
|
wbknd | 2022.01.11 | 602 |
| 44 |
2021년 10월 정기조사
|
wbknd | 2021.10.11 | 596 |
| 43 |
2021년 9월 정기조사
|
wbknd | 2021.09.13 | 585 |
| 42 |
2021년 8월 내성천 조사
|
wbknd | 2021.08.29 | 596 |
| 41 |
2021년 8월 정기조사
|
wbknd | 2021.08.17 | 584 |
| 40 |
2021년 7월 내성천 조사
|
wbknd | 2021.07.31 | 612 |
| 39 |
2021년 7월 정기조사
|
wbknd | 2021.07.26 | 677 |
| 38 |
2021년 2월 내성천 조사
|
wbknd | 2021.04.27 | 442 |
| 37 |
2021년 1월 내성천 조사
|
wbknd | 2021.02.02 | 619 |
| 36 |
2020년 12월 내성천 영주댐 담수예정지 조류조사
|
wbknd | 2021.01.20 | 500 |
| 35 |
2020년11월 내성천 조사
|
wbknd | 2021.01.16 | 430 |
| 34 |
2020년10월 내성천 조사
|
wbknd | 2020.11.22 | 590 |
| 33 |
2020년 7월 내성천 영주댐 담수예정지 조류 조사 실시
|
wbknd | 2020.11.20 | 608 |
| 32 |
2020년 4월 조사에서 만난친구들..
|
wbknd | 2020.11.20 | 479 |
| 31 |
2020년 3월 내성천 영주댐 상류부 조류조사
|
wbknd | 2020.11.20 | 518 |